-
공무원 휴직 현황과 질병육아휴직 핵심 정리 : 요건, 기간, 경력인정, 봉급 등 / 출처: 인사혁신처 2022 공무원인사실무공무원 복무 2022. 9. 11. 15:59728x90반응형
1.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휴직자는 2015년 1만 4천여 명에서 2020년 2만 4천여 명으로, 5년간 약 1.7배 증가했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휴직인원 현황(2015~2020년) / 출처: 행정안전부 내고장 알리미 https://www.laiis.go.kr/lips/nya/psnoper/personnelOperationDetail.do#none
2. 2020년 기준, 전국 지자체 중 공무원 휴직비율(휴직자수/현원)이 가장 높은 지자체는 경기도(휴직비율: 10.87%)며, 가장 낮은 지자체는 전라북도(휴직비율: 5.72%)였다.
2020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휴직비율 현황 / 출처: 행정안전부 내고장 알리미 2020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휴직자 현황 / 출처: 행정안전부 내고장 알리미 2020년 전국 지자체 휴직현황 통계(행정안전부 내고장알리미).pdf0.10MBhttps://www.laiis.go.kr/lips/nya/psnoper/personnelOperationDetail.do#none
3. 2018년 공무원총조사(인사혁신처) 결과, 공무원 휴직 사유 중 육아휴직이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질병휴직이 많았다.
2018년 공무원총조사, 휴직종류별 현황 / 출처: 인사혁신처 2018년 공무원총조사, 휴직종류별 현황 / 출처: 인사혁신처 2018년_공무원총조사_도표로본주요통계 (1).pdf0.94MB4. 2022년 공무원 인사실무(발간: 인사혁신처), 공무원 휴직종류별 핵심 내용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분은 아래 첨부파일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가. 공무원 휴직종류와 근거규정 핵심 요약표(질병휴직, 병역휴직, 행방불명휴직, 법정의무수행휴직, 노조전임휴직, 고용휴직, 유학휴직, 연수휴직, 육아휴직, 가족돌봄휴직, 해외동반휴직, 자기개발휴직)
공무원 휴직종류와 근거규정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나. 공무원 휴직종류별 주요 인사사항 핵심요약표(요건, 기간, 재직경력, 결원보충, 봉급, 수당, 연봉적용자 등)
공무원 직권휴직 종류 및 주요내용(질병휴직, 병역휴직, 행방불명휴직, 법정의무수행휴직, 노조 전임자휴직)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공무원 청원휴직 종류 및 주요내용(고용휴직, 유학휴직, 연수휴직, 육아휴직, 가족돌봄휴직, 해외동반휴직, 자기개발휴직)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5. 공무원 질병휴직, 인사혁신처 주요 질의회신(유권해석) 사례(질병재발, 진단서 제출, 진단서 치료기간, 불임난임치료 등)
공무원 질병휴직 주요 질의회신 사례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공무원 질병휴직 주요 질의회신 사례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6. 공무원 육아휴직, 인사혁신처 주요 질의회신(유권해석) 사례(부부공무원 육아휴직 중복신청, 시보임용 공무원 육아휴직 신청, 육아휴직 요건 의미, 대상자녀 지정 승진소요최저연수 등)
공무원 육아휴직 주요 질의회신 사례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공무원 육아휴직 주요 질의회신 사례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공무원 육아휴직 주요 질의회신 사례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공무원 육아휴직 주요 질의회신 사례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공무원 육아휴직 주요 질의회신 사례 / 출처: 2022년 공무원인사실무(인사혁신처) 끝.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 현황과 인사 핵심 총정리 : 신청, 해제, 근무기간, 근무시간 등 / 출처:
시간선택제 공무원 제도는 2013년 6월 발표된 「고용률 70% 로드맵」에서 최초 논의됐고, 같은 해 11월 발표된 「시간선택제일자리 활성화 대책」에서 구체화됐으며, 2014년 「공무원 임용령」 등
adcaps.tistory.com
728x90반응형'공무원 복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직권남용죄 성립요건 : 형법 제123조 / 출처 : 대법원 판례 (1) 2022.10.06 공무원 직무유기죄 성립여부 판단기준 : 형법 제122조 / 출처 : 대법원 판례 (0) 2022.10.04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 현황과 인사 핵심 총정리 : 신청, 해제, 근무기간, 근무시간 등 / 출처: 행정안전부 2022 지방공무원 인사제도 운영지침 (0) 2022.10.02 행정안전부 질의회신 사례 : 공무원 시간외수당(초과근무수당) / 오후반가, 오전반가, 조퇴 후 초과근무 인정 여부 (4) 2022.09.30 공무원 직위해제 핵심 총정리 : 뜻, 봉급, 사유, 효력, 판례 등 / 출처: 2022 행정안전부 공무원 징계업무편람 (1)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