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공무원(일반직, 경찰, 소방, 군인, 교사) 봉급표 / 출처: 공무원보수규정일부개정령(인사혁신처 성과급여과)공무원 복무 2023. 1. 1. 10:34728x90반응형
2023년 고물가, 고금리로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가운데, 공무원 월급 지급의 기준이 되는 2023년 공무원 봉급표(호봉표)가 1월 3일 확정 됐습니다.
1. 공무원보수 규정 개정절차
공무원보수규정(대통령령)은 행정입법으로서 입법절차에서 국회의 심의를 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되면 곧바로 공포하게 되며, 법률과 같이 국회제출, 국회에서의 심의, 정부이송 등의 절차를 밟지 않습니다.
정부입법지원센터 정부입법현황을 살펴보면, 공무원보수규정은 입법예고(2022. 12. 27. ~ 28.)와 법제처 심사(2022. 12. 30.)를 거쳐 국무회의 심의의결 및 공포(2023. 1. 3.)가 완료됐습니다.2. 공무원보수규정 주요 개정내용
공무원보수규정의 소관부처인 인사혁신처는 일부개정령(대통령령) 개정이유에서, "공무원 처우개선을 위해 2023년도 공무원의 직종별 봉급액과 연봉 한계액 등을 상향 조정하여 총 보수의 1000분의 17 인상(1.7%)에 상당하는 처우개선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고, 어려운 경제여건을 고려하여 정무직공무원, 고위공무원단 및 4급(상당) 이상 공무원에 대해서는 2022년 수준으로 보수를 지급한다."라고 밝혔습니다.
3. 공무원 보수 인상률을 마주하는 우리의 자세
직업을 선택 하는 여러 가지 기준 중에 돈은 현실적으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실제로 블라인드앱이라는 직장인 익명 게시판에는 만족스럽지 못한 공무원 월급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많습니다. 그만두고 이직을 준비한다는 글도 자주 올라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무원을 직업으로 고려하고 있으신 취업준비생(취준생), 공무원시험준비생(공시생)분들이시라면 꼭 한 번은 봉급표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공무원 현직자분들은 고물가 고금리 시대에 1.7% 인상된 봉급표를 참고해서, 올 한해 언제 어디에 얼마를 지출해야 할지 지출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4. 공무원 임용종류에 따른 봉급 핵심요약
<출처 : 인사혁신처 공무원보수규정 / 2023년 공무원 봉급표>
※ 공무원 임용 종류에 따른 초임 봉급 정리(군경력등 가산 제외, 세부사항은 아래 파일 참조)
① 일반직 공무원
▲ 9급 1호봉 177만원(9급공채), ▲7급 1호봉 196만원(7급공채), ▲5급 1호봉 265만원(5급공채 행정고시)
② 경찰·소방 공무원
▲순경·소방사 1호봉 177만원(일반공채), ▲경위·소방위 1호봉 220만원(간부후보생 공채, 경찰대학)
③ 교사(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 9호봉 215만원(정교사1급)
④ 군인
▲하사 1호봉 177만원(부사관 임관) ▲소위 1호봉 178만원(학사사관 임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학군사관후보생ROTC)5. 2023년 공무원 봉급표 원본파일
https://www.lawmaking.go.kr/lmSts/govLm
반응형출처 : 공무원보수규정 일부개정령 / 2023년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 인사혁신처 성과급여과 출처 : 공무원보수규정 일부개정령 / 2023년 경찰,소방 공무원 봉급표 / 인사혁신처 성과급여과 출처 : 공무원보수규정 일부개정령 / 2023년 교사 봉급표 / 인사혁신처 성과급여과 출처 : 공무원보수규정 일부개정령 / 2023년 군인 봉급표 / 인사혁신처 성과급여과
끝.공무원(교사, 군인, 경찰) 정근수당 핵심정리 : 뜻, 가산금, 지급기준, 지급일, 계산법, 육아휴직
공무원 월급은 크게 봉급(기본급)과 수당으로 구성됩니다. 봉급은 호봉표에 따라 매월 지급되며, 수당은 종류에 따라서 기급기준과 지급일 등이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
adcaps.tistory.com
공무원 시간외근무(초과근무) 1시간 공제 이유 / 출처 : 2022 지방공무원보수업무 등 처리지침, 법
일반적으로 공무원의 근무시간은 09시부터 18시까지입니다. 그런데 가령 아침 8시 30분에 출근을 해서 저녁 6시 30분에 퇴근을 하면 오전에 30분 그리고 저녁에 30분의 초과근무를 해서 총 1시간의
adcaps.tistory.com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부정수령 : 적발 및 징계 현황, 사례, 처벌 규정 및 지침 / 출처: 행정안전부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사이트인 블라인드 앱에서 젊은 공무원들의 주요 관심사 중 초과근무수당에 관한 글이 꾸준히 올라오고 관심을 받습니다. 특히, 시쳇말로 가라초과(허위로 초과근무를 하
adcaps.tistory.com
728x90반응형'공무원 복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