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시설법 질의회신 사례 : 아파트 공용부분(복도, 계단, 출입구) 물건 적치 / 관계법령: 공동주택관리법, 소방시설법공동주택관리 2022. 9. 28. 21:07728x90반응형728x90
많은 사람들이 아파트에 살고 있습니다. 아파트는 영어입니다.(apartment) 우리나라 말이면서 법률용어로는 공동주택이라고 합니다. 아파트는 혼자사는 단독주택이 아니라, 같이 모여 함께 사는 공동주택입니다.
같이 모여 살게 되면 같이 쓰게되는 공용공간들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대표적으로 아파트의 복도, 계단, 출입구가 있습니다. 아파트의 현관문 앞이나 계단에 쓰레기, 유모차, 자전거 등을 적치해 이웃 주민들 간 분쟁이 종종 일어납니다.
이번 글은 아파트(공동주택) 공용부분 물건 적치 시, 적용될 수 있는 관련법령과 질의회신 사례를 정리했습니다. 가장 좋은 해결방법은 입주민간 상호 존중과 배려라고 생각합니다. 공동주택은 혼자 사는 곳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1. 공동주택관리법 적용 : 시장·군수·구청장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19조(관리규약의 준칙)
② 입주자등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려는 경우에는 관리주체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중략)
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제1항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공용부분에 물건을 적재하여 통행ㆍ피난 및 소방을 방해하는 행위2. 소방시설법 적용 : 소방본부장·소방서장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건축법」 제49조에 따른 피난시설, 방화구획(防火區劃) 및 같은 법 제50조부터 제53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방화벽, 내부 마감재료 등(이하 “방화시설”이라 한다)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을 폐쇄하거나 훼손하는 등의 행위
2.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주위에 물건을 쌓아두거나 장애물을 설치하는 행위
3.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용도에 장애를 주거나 「소방기본법」 제16조에 따른 소방활동에 지장을 주는 행위
4. 그 밖에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을 변경하는 행위
②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제1항 각 호의 행위를 한 경우에는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53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중략)
2. 제10조제1항을 위반하여 피난시설, 방화구획 또는 방화시설의 폐쇄ㆍ훼손ㆍ변경 등의 행위를 한 자건축법 제49조(건축물의 피난시설 및 용도제한 등)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과 그 대지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복도, 계단, 출입구, 그 밖의 피난시설과 저수조(貯水槽), 대지 안의 피난과 소화에 필요한 통로를 설치하여야 한다.3. 소방서 질의회신 사례(아파트 공용복도 적치물관련 소방법 문의)
https://www.busan.go.kr/minwon/minwoncase/1500199
민원사례 - 아파트 공용복도 적치물관련 소방법문의 : 부산민원120
아파트 공용복도 적치물관련 소방법문의 내용 아파트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입구근처개인물품을 보관하면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하지만 예외로 2명이상 통행이 가능하고화재발생시
www.busan.go.kr
끝.
신축 아파트 하자보수 핵심정리 : 뜻, 하자담보책임기간, 하자보수절차, 담보책임종료, 과태료,
사람들이 새로 지어진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낡고 부서진 것이 없이 쾌적한 주거 공간을 영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상은 이름 있는 건설사에서
adcaps.tistory.com
공동주택관리법 질의회신 사례 : 공동주택 베란다 배관 보수 책임 / 집주인 v.s. 관리사무소 / 전
관리주체(관리사무소)의 관리책임과 비용부담은 공동주택 관리규약에 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관리규약은 "공동주택의 전용부분은 입주자등의 책임과 부담으로 관리하며, 공용부
adcaps.tistory.com
아파트 장기수선충당금 핵심 정리 : 뜻, 적립, 이사갈 때 세입자 반환 등 / 출처 : 공동주택관리법
아파트 관리비에 포함된 장기수선충당금을 세입자(임차인)가 이사 갈 때 돌려받을 수 있까요? 돌려받을 수 있다면 정확한 근거가 무엇일까요? 가스비, 전기세 등 생활물가가 치솟고 있는 요즘
adcaps.tistory.com
728x90반응형'공동주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